CS Center
지열자료실
홈 < 자료실 < 일반자료실

[상식] 채수(採水)와 관련된 영어 표현
 작성자 : 관리자
Date : 2022-08-23 09:46  |  Hit : 582  

채수 (採水) : sampling of water
채수지점 (採水地點) : water sampling point
지하수채수 (地下水採水) : mining of ground water
채수주입법 : pump and treat method

P.S.
야장(野帳)은 지하수 사업 뿐만 아니라 다른 직군에서도 요긴하게 쓰일텐데,

그중 현장 번호라는 게 있다. 현장이나 처리해야 할 독립적인 업무 단위에 고유한 기호, 번호를 부여해 성과 정도나 업무 규모 따위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그 고유한 기호, 번호 매기는 방법과 과정에 대해 한소리 할까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짤 때에도 수많은 현장 번호와 같은 번호가 필요하다.
갑자기 웬 프로그램 할텐데, 과거 해당 업무를 처리했던 경험을 비유하고자 예를 들었다.
프로그램에서 "현장 번호"는 이른바 변수(變數 - 어떤 관계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라는 것인데

        이를 테면 주차장 관리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치자,
        차가 몇 대 들어왔는지 카운트(count)하는 것도
        주차 시간에 맞춰 차량마다 주차료가 얼마인지
        그리고 하루에 몇 대의 차량이 들어왔는지 헤아리는 것도....
모든 것이 여러 변수에 저장시켜 놨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쓴다이다.

그것이 "현장 번호"와 어떤 상관이 있을까?
현장 번호가 현장 성질에 따라 분류하고 지역을 구획하며 일의 선후(先後)에 맞춘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듯 변수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현장이 "삼척"인데 "K-001"이라는 현장 번호를 부여했다고 가정해보자.
담당자에게 왜냐고 물으면 "강원도"라서 KangWonDo의 "K"를 접두어로 넣었다고 했다.
나쁘지 않다.
하지만 직관적(直觀的)이지 않다. 는 게 내 생각이다.

차라리 삼척 두 음절을 영어로 표현한 "SC-001"이 어떨까 싶은 것이다.

출발부터 생각의 편차가 생기면 결과는 사뭇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삼척 현장은 수리 수질 조사, 두 가지 업무가 있다고 조금 더 구체화시켜보자.

        삼척 수리 조사를 콩글리쉬로 고쳐보자면 SamChuck Utilize Water Investigation
        이걸 현장 번호화 하면 "SCUWI-001, SCUWI-002..."
        그런데 "SCUWI 너무 긴 거 같다.
        혹여 삼척 지역별로 세분화 한다면 더 길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줄여보자, SU 삼척의 S, 수리 조사의 U 만 사용했다.
        지역별 세분화가 필요하다면 지역 이니셜을 그 뒤에 더 붙이면 된다.

간단한 거 같아도 잘못 부여하면 업무 처리내내 고생한다는 걸 잊지 말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