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경도를 표시하다 보면 37°17'07.5"N 127°06'47.1"E부터 37.285417, 127.113081, 520694.6201 210027.7832...
여러 형태의 좌표를 접하게 된다.
기관부터 개인까지 요구하는 스타일도 달라 변환에 애먹을 때가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린다.
1. 알고 있는 주소의 위경도 좌표를 얻고 싶을 때 로 가라.
구글 지도에서 주소를 입력하라. (논외가 되겠지만 구글의 한국 주소 매핑은 일부 오류가 존재한다. 신, 구 주소를 정확하게 가지고 있는 DB로 카카오맵을 추천한다.)
도로명 주소 이전 주소의 관정(管井-우물)을 찾는 일이 많은 본인 업무상 카카오맵에서 시행착오를 덜 겪었다.
아쉬운 거라면 주소 체계는 제대로 잡았는데 그걸 바탕으로 안내하는 경로는 아... 쫌이다.
자아, 구글 지도로 원하는 주소지에 갔는가?
혹시나 주소 오류나 제대로 찾지 못했다면 로 가서 도로명 주소를 카피해서 구글 지도에 넣어보라.
조금 나아진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일단 구글 지도에서 원하는 주소까지 찾았다면 직접적인 위경도를 알아보자.
저런 식으로 주소지를 붉은 표시로 나타낼 것이다.
카카오맵으로 주소지를 확인했고 구글 지도에서 주소지를 표시했다.
위경도를 알고 싶은 곳이라면 상관없지만 아니라면 해당 위치를 찾아 마우스를 클릭하라.
마우스 클릭한 위치에 흰색 동그라미가 그려질 것이다.
그 흰색 동그라미 아래로 마우스를 옮겨가면 손가락이 나타나는데 조금 더 내리면 화살표로 바뀐다.
화살표로 바뀌기 전, 손가락 상태에서 한번 더 클릭하라.
쉽게 풀자면 흰색 동그라미 맨 하단
이와 같이 나타날 것이다.
무슨 숫자가 나타나는데 이게 위경도 정보다.
이 숫자를 구글 지도 좌측의 네모 칸에 써 넣으시라.
위경도를 구분짓는 ,(콤마)대신 빈 공백으로 놔둬도 괜찮다.
입력을 끝내고 '엔터' 키를 눌러 보시라.
좌측 네모 칸에 위경도 좌표가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아까 입력한 숫자 37.286199 127.114918를 카카오 맵에 입력해 보시라.
카카오맵도 인식하고 지도에 표시해 줄 것이다.
2. 알고 있는 위경도를 지도에 표시하기
37도 22분 31.5초, 126도 57분 10.6초이런 위경도를 알고 있다고 치자.
해당 위경도가 어디인지 알고 싶을 때, 위에서 했던 대로 구글 지도에서 흰색 동그라미가 나오도록 클릭한다.
아무 곳에서나 클릭하면 흰색 동그라미가 나온다.
그리고 손가락이 없어지기 바로 전에 동그라미 맨 하단을 클릭하면 파란색 표시와 위경도 숫자가 나온다.
그걸 아까처럼 네모 칸에 넣어준다.
그러면 아까와 같은 위경도가 보인다.
그곳에서 알고 있던 37도 22분 31.5초, 126도 57분 10.6초로 숫자를 고쳐 '엔터'를 눌러보시라.
알고 싶은 위경도로 가 있을 것이다.